부모님과의 의견차이 문제 어떻게 해결할까요? 1. 저는 딱히 공부에 재능이 있는 편도 아니고 큰 마음이
1. 저는 딱히 공부에 재능이 있는 편도 아니고 큰 마음이 있지도 않았어서 성적이 그리 좋지 않아요. 그래도 저희 지역권 내에서 가고 싶은 과를 갈 만한 정도는 되어서 담임선생님과 상담하며 수시 넣을 대학을 정했죠. 부모님이 자꾸 서울로 써 보면 안 되겠냐 하시더라구요. 하지만 전 서울로 쓰면 떨어질 걸 알기에 쓰고 싶지 않아요. 이미 전 상향으로 쓸 대학도 마음에 정해 두었고요. 선생님과 상담에서 대학을 하나 더 쓸 수 있을 것 같으니 생각해 오라고 하셨지만 차라리 안정을 더 쓰지 전혀 서울로 쓰고 싶지 않습니다. 어떻게 설득시켜 드릴 수 있을까요? 2. 내신도 그냥 그런데 솔직히 모의고사 성적이 좋겠나요... 노력을 안 해 본 것도 아니기에 저도 좋았으면 좋겠지만 9모를 보니 아무래도 수시로 가는 게 맞겠다 싶어서 선생님과 상담했어요. 선생님과도 여러 번 혹시 다 떨어질 일은 없을지 상담했기에 전 정시 공부를 그만하겠다고 한 거거든요. 이번에 학원을 그만두겠다고 하며 수시에 대해 깊게 이야기해 드렸는데 저와 다른 의미로 받아들이셨나 봐요. 알바를 하고 싶다고 부모님께 말씀드리니 자꾸 다 떨어지면 어떡할 거냐 지금 그럴때냐 하며 공부하라고 하시더라고요. 저도 불안한 마음이 없는 게 아니지만 부모님이 절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속상해요. 이건 어떻게 해결할 수 있을지 모르겠어요뭐 누군가에겐 단순히 알바를 포기하는 거기도 하지만 저희 집 형편이 넉넉지 않은 걸 알고 전 돈이 필요해요. 제가 하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 사고 싶은 것을 위해 돈을 달라고 하고 싶지 않아요...(용돈이 부족하기도 하고요.) 또 전 아무리 수능 전이라도 이 시간을 단순히 노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지 않아요. 대학 가기 전에 남는 시간을 열심히 채우고 싶은데 아직 생일이 안 지나서 부모님 동의가 필요하네요... 어떻게 하면 좋을까요?전 부모님을 매우 사랑하고 부모님도 절 매우 사랑한다는 걸 알아요. 하지만 대화가 벽하고 대화하는 거랑 다를 바가 없으니 이젠 그냥 다 포기하고 싶어요. 이런 부모님이 많을까요? 대화하기가 싫어요.
부모님이 질문자님을 사랑하고 걱정하시는 걸 안다면.
그리고 부모님 역시 질문자님 나이와 과정을 직접 겪어 보시고
평소 주위에서 꾸준히 관련 정보를 듣고 있다는 걸 아시다면
한 번쯤은 부모님 입장에서 생각해 보셔도 좋습니다.
"어른 말 들어서 손해 볼 거 없다"라는 말은 누구나 공감하고 동의하는 부분입니다.
1. 저는 딱히 공부에 재능이 있는 편도 아니고 큰 마음이 있지도 않았어서 성적이 그리 좋지 않아요.
그래도 저희 지역권 내에서 가고 싶은 과를 갈 만한 정도는 되어서
담임선생님과 상담하며 수시 넣을 대학을 정했죠.
부모님이 자꾸 서울로 써 보면 안 되겠냐 하시더라구요.
하지만 전 서울로 쓰면 떨어질 걸 알기에 쓰고 싶지 않아요.
이미 전 상향으로 쓸 대학도 마음에 정해 두었고요.
선생님과 상담에서 대학을 하나 더 쓸 수 있을 것 같으니 생각해 오라고 하셨지만
차라리 안정을 더 쓰지 전혀 서울로 쓰고 싶지 않습니다.
서울로도 쓰시면 되는 거 아닌가요?? 뭐가 문제죠??
그거 때문에 질문자님이 더 준비하거나 공부해야 하는 부분은 없을텐데요.
문제가 되지 않을 부분인데 질문자님이 고집을 피우셔서 현재 문제가 되고 있을 수도 있습니다.
질문자님이 쓰고 싶은 곳에 인서울 그래도 어느 정도 가능성이라도 있는 곳에 하나 더 쓰시면 됩니다.
서울을 가기 싫은 거라면 차라리 그렇게 설득을 하시는 게 좋습니다.
굳이 지방에서 서울까지 유학을 갈 정도라면 그만한 아웃풋을 기대하고 비용과 노력을 투자하는 건데
그 정도 아웃풋이 나오려면 단순히 인서울이 아닌 인서울 명문대 정도는 되어야 한다고,
현재 본인의 성적과 학습 태도, 공부에 대한 자세로는 어떻게 인서울을 하게 되더라도
괜히 집에서 떨어져 나가서 고생하고 부모님께도 의미 없는 경비 지출을 안 하시게 하고 싶다고..
나중에 본인이 정말 하고 싶은 일이 있을 때, 차라리 그 비용을 지원 또는 빌려 주시라고..
본인이 인서울을 거절하는 타당한 이유과 부모님이 납득하실 수 있는 명분을 만들어 드리세요.
2. 내신도 그냥 그런데 솔직히 모의고사 성적이 좋겠나요...
노력을 안 해 본 것도 아니기에 저도 좋았으면 좋겠지만
9모를 보니 아무래도 수시로 가는 게 맞겠다 싶어서 선생님과 상담했어요.
선생님과도 여러 번 혹시 다 떨어질 일은 없을지 상담했기에 전 정시 공부를 그만하겠다고 한 거거든요.
이번에 학원을 그만두겠다고 하며 수시에 대해 깊게 이야기해 드렸는데 저와 다른 의미로 받아들이셨나 봐요. 알바를 하고 싶다고 부모님께 말씀드리니 자꾸 다 떨어지면 어떡할 거냐 지금 그럴때냐 하며 공부하라고 하시더라고요.
저도 불안한 마음이 없는 게 아니지만 부모님이 절 이해하지 못하는 것 같아서 속상해요.
스스로도 불안한 마음이 없는 게 아니라면서요.
그래서 부모님은 차선책을 대비해 정시 공부도 이어 갔으면 하시는 겁니다.
수시에서 안 떨어질 확률이 100%라고 장담할 수 없으니까요.
그 때 현재 학업 수준에서 목표로 하는 지방 대학조차 못 들어 가게 되면요
그리고 현재 신분이 학생이고 고3인데, 굳이 공부를 포기하면서까지 해야 할 다른 일이 있는 것도 아니구요.
이제 수능이라고 해 봤자 2달 정도 밖에 안 남았는데, 2달만 더 공부 하시면 되죠
알바든. 뭐든, 수능 치고 2달 후에 하시면 되죠. 뭐가 그리 급한가요.
현재 고 1,2거나.. 지금이 3학년 1학기라면 몰라도.. 이제 수능 2달 남았습니다.
얼마 안 남은 기간 부모님과 충돌해 가며, 본인 인생 담보 잡아 가며, 다른 일 하지 마세요.
뭐 누군가에겐 단순히 알바를 포기하는 거기도 하지만 저희 집 형편이 넉넉지 않은 걸 알고 전 돈이 필요해요. 제가 하고 싶은 것, 먹고 싶은 것, 사고 싶은 것을 위해 돈을 달라고 하고 싶지 않아요...
학생은 적어도 앞으로 두달. 수능 전까지는 해야 하는 일은 "공부"입니다.
아침 집에서 먹고, 점심 학교에서 먹고, 저녁은 집에서..
먹는 거 집에서 다 해결해 주시는 데, 무슨 먹고 싶은 거 먹을거라고 돈을 버나요
앞으로 2달 사고 싶은 거 못 산다고 해서 뭐가 크게 달라지지 않아요
궁극적으로는 스스로 자신의 용돈을 벌고 그걸 쓰고 싶다는 건 좋은 생각이지만,
지금 시점에는 다른 것보다 2달 동안만 집중해서 공부하시면 됩니다.
또 전 아무리 수능 전이라도 이 시간을 단순히 노는 시간으로 보내고 싶지 않아요.
대학 가기 전에 남는 시간을 열심히 채우고 싶은데 아직 생일이 안 지나서 부모님 동의가 필요하네요...
수시를 보더라도 면접 준비, 논술 준비 등등 바빠요.
그리고, 대부분의 알바 사장님들은 수능 2달 앞둔 고3 학생 왠만해서는 안 뽑아요.
99%가 하루 이틀 일하다고 수능 준비 때문에 못 다니겠다고 추노할 확률이 99% 이상이라..
전 부모님을 매우 사랑하고 부모님도 절 매우 사랑한다는 걸 알아요.
하지만 대화가 벽하고 대화하는 거랑 다를 바가 없으니 이젠 그냥 다 포기하고 싶어요.
처음에도 말씀 드렸듯이 부모님은 질문자님을 매우 사랑하시고
질문자님에게 가장 도움이 되는 방향으로 조언을 해 주십니다.
원서 작성할 때 서울에 하나 더 쓰는 게 뭐가 그리 어려운 일이라고 그런 걸로 스트레스를 받으세요.
수능 이제 겨우 2달 남았는데, 2달만 더 공부하시면 되는데 뭘 그리 서두르시나요.
부모님 말씀에 반대 하고 질문자님 인생인데 간섭하지 말라고 하시는 거라면,
깔끔하게 부모님 지원 다 포기하시면 될 일이에요.
대학교는 의무 교육도 아니고, 이후 생활비건 용돈이건 다 스스로 해결하셔야죠.
경제적으로 완벽하게 자립이 된 이후에야 부모님 의견 무시하고 독립적인 삶을 살 수 있는 거에요.
질문자님도 아시다시피 부모님은 질문자님을 매우 사랑하십니다.
그렇기에 최선의 방법을 계속 설득 하시고 알려 주시는 거구요.
혹시라도 인생에 고난이 오지 않을까 대비책까지도 조언해 주시는 거에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