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ogo
i
>> 글 이어보기 <<
모바일 메이플 본인인증 왜 이러죠? 갑자기 뭐가 잘못되었다면서 본인인증 하라고 하더라구요.그래서 할려고 하는데 계속 잘못된
일본 술 면세 안녕하세요 제가 일본에 놀러와서 발렌타인 30년산을 2병 사서 한국을 가고싶은데
보홀로 여행 가는데 환전 어떤게 유리한가요? 한국에서 90% 우대 받아서달러로 바꿔서 현지가서 다시 페소로 환전 토스카드로
대구역에서 무궁화 타고 서울 못가나요? 대구 지하철 1호선에서 서울로가는 무궁화 기차 타는 법 궁금합니다 찾아보니
일본 여행 친구들이랑 성인되고 첫 일본여행을 가려는데요제가 해외에 한 번도 안가봐서 여권도
#1 #2 #3 #4 #5 #6 #7 #8 #9 #10 #11 #12 #13 #14 #15 #16 #17 #18 #19 #20 #21 #22 #23 #24 #25 #26 #27 #28 #29 #30 #31 #32 #33 #34 #35 #36 #37 #38 #39 #40 #41 #42 #43 #44 #45 #46 #47 #48 #49 #50 #51 #52 #53 #54 #55 #56 #57 #58 #59 #60 #61 #62 #63 #64 #65 #66 #67 #68 #69 #70 #71 #72 #73
헝가리 의대 졸업 후 미국 헝가리에서 의대 졸업하고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기 어려운가요? 외국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위에 글 이어보기 클릭하면 더 볼 수있어요
헝가리 의대 졸업 후 미국 헝가리에서 의대 졸업하고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기 어려운가요? 외국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헝가리에서 의대 졸업하고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기 어려운가요? 외국에서 의대를 졸업하고 미국에서 의사로 활동하기 쉬운 나라가 따로 있나요? 있다면 어딘지 알려주세요
i
미국에서 의사가 되려면, 물론 대부분 미국에서 의과 대학 졸업하고, 의사 면허 시험 합격과, 인턴과 레지던트 끝나면서 전문 의사가 됩니다. 그리고 미국 의과 대학은 외국인은 입학을 아예받지 않기 때문에 유학으로 미국에 와서 의사가 되는 방법은 없읍니다. 미국 의과 대학을 입학 하려면, 최소한 영주권은 있어야만 학교에서 입학 시켜주기 때문입니다.
외국인이 미국 의사 되려면, 미국에서 미리 영주권 받고 의과 대학에 진학 하여 의사가 되는 방법이 있으며, 다른 하나는 외국에서 의과 대학 졸업하고 소정의 절차를 밟아 미국 면허와 의사로서 영주권을 받으면서 미국 의사가 되는 길이 있습니다. 어린 나이에 미국에 유학을 왔거나 어린 나이에 부모 따라 미국에 왔던 학생들은 중간에 부모가 영주권을 받으면서 자녀도 영주권을 동시에 받게 되면, 대학 졸업후 의과 대학 가는데 아무 문제가 없읍니다.
​미국 이민법에는 외국 의과 대학 졸업생이 미국내에서 의사 활동 하려면, 우선 미국 의사 면허 시험인 USMLE (U.S. Medical Licensing Examination) 시험 Part 1 과 Part 2 테스트 합격 해야 하고, 그리고 ECFMG (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School Graduates) 라고 하는 외국 의과 대학 평가 위원회 라고 하는 기관에서 시행하는 영어 시험에 합격 한후에, 자기가 졸업한 외국 의과 대학 공부가 미국 의과 대학에서 배운 것과 동등 하다는 증명서를 받아야 합니다.
​그 증명서는 ECFMG Certificate 라고 부르는데, 외국 의과 대학 평가 위원회 (Educational Commission for Foreign Medical Graduates) 에서 발행 해 줍니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미국내에서 레지던트 과정을 마쳐야만 미국내에서 의사가 되는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미국의사가 되었으면, 이제 미국에서 합법으로 살아야 하는데, 그 방법은 영주권을 받는 방법입니다.
​미국에서 의사 하려면, 미국의사 면허 시험 합격하고, 꼭 미국에서 레지던트를 이수 해야만 한다고 위에서 설명 하였습니다. 면허는 이런 저런 방법으로 개인적으로 시험을 치루어 Part 1,2,3, 를 모두 볼수 있습니다. 문제는 어떻게 미국에서 레지던트를 시작 하느냐 입니다. 미국 병원에서 레지던트 하는 방법은 레지던트 신청할 자격이 되는 사람들로 부터 신청서를 모두 한군데서 받아, 좀 복잡한 추첨 과정을 거쳐서 각병원에 배정 받게 됩니다. 외국 의과 대학 졸업생이 미국에서 레지던트 훈련 받으려고 미국에 입국 하는 방법은 교환방문 프로그램인 J 비자와 취업 비자인 H1-B 비자 두가지 입니다. 실제로는 대부분이 J 비자로 입국하고 있습니다.
​그런데 이 J 교환 비자는 꼭 2년 본국으로 귀국 해야만 하는 강제 규정이 있기 때문에, 만일 레지던트 훈련 끝나고 미국에서 취직하거나 의사로 활동 하려면, 곡 한국으로 귀국하고 2년 살고 난후에만, 그후에 미국에 영주권이나 다른 비자로 입국할수 있습니다. 만일 한국에 귀국 하지 않고 미국에서 계속 남아 있으려면, 2년 본국 귀국을 안해도 좋다는 허락인 웨이버 (Waiver) 를 미국 이민국으로 부터 승인 받으면 됩니다. 이 승인을 받으려면, 미국 정부가 지정하는 무의촌 지역에 위치한 병원에서 3년 근무 하여야만 받을 수 있습니다.